사진공부 따라하기

팬 포커스 셋팅법

피고지고 2010. 2. 28. 11:23

팬 포커스 셌팅법

제목을 보고 이게 뭐야 ?라고 놀라신 분은 진정하시고....
몰래카메라를 막샷으로 날릴 때 셋팅하면 좋은 방법이기도 해서~~^^*
풍경을 찍으면서 가끔 희멀건하게 나온 사진을 보고 실망하시는 분들을 위해
앞에서 부터 뒷쪽까지 선명하게 찍기 위한 카메라 셋팅 방법을 과초점거리와 관련하여 기술합니다.

1)
컨트라스트와 sharpness를 우선 hard 쪽에 맞추시고
2)
카메라 흔들림을 방지하는 모든 조치(삼각대, 밀러쇼크 등)를 하고
3)
초점을 잡는데 이과정에서 초점을 잡는 지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문제를 "과초점거리"와 연관해서 자세히 기술합니다.
   
과초점거리란 어떤 렌즈의 임의 초점거리에서 한 지점에 초점을 맞췄을 때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를 말합니다. 꼬부랑글로 Hyperfocal Distance라고 합니다.
   
H.D를 구하는 공식은 처음 부터 근초점거리, 원초점거리 어쩌고 저쩌고 하면 머리 아프니까
   
아래 공식 하나 만 외워 두시고 활용하시면 됩니다.

    H.D=F*F/a*c + F
          F :
촬영렌즈의 초점거리(mm)
          a :
유효구경(조리개 값)
          c :
착란원의 크기(착란원? 이거 몰라도 되니까 DSLR 크롭바디[니콘]에서 0.01mm로 만 알고 있으면 됨
              35mm
필름카메라는 0.03mm 입니다.)
         
그러면 예를 들어 볼까요?
17-70
렌즈를 이용하여 50mm f11에 놓고 찍는다고 가정하면 위 공식에서
      H.D=50*50/11*0.01 + 50=22777mm=22.777m
가 됩니다.
이것은 22.777m에 초점을 맞추면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거리인데 여기서 이 지점의 앞쪽은
그 거리의 1/2 11.4m 정도에서 부터 초점이 맞는다는 것입니다
정리하면 50mm의 렌즈로 f11에 놓고 22.8m에 초점을 맞추면 11.4m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사진이 된다 이런 말입니다.
여기서 조리개 값(a)이 커질수록 거리는 짧아지죠? 그래서 조리개를 자꾸 조이라고 하는 겁니다.

조금 복잡한가요단순화 하지요.
위 공식에서 뒷 쪽에 + F 값은 앞의 수에 비해 보잘것 없는 수이므로 생략해도 되겠죠?
그래서 ▶H.D=F*F/ac◀ 만 외우면 됩니다.
a
는 조리개값, c 0.01을 잊지 마시고  "초점거리를 제곱해서 조리개값의1/100로 나눈다"
요렇게 외우세요. 반복 복창 10!!!!!!!!!!!!!!!!
그리고서 "위 공식으로 나온 숫자에 초점을 맞추되 앞쪽은 그 거리의 1/2지점부터 무한대까지 쨍하다"고 기억하세요.

그러면 광각이 얼마나 유리한지  한번 볼까요?
10mm
광각으로 f11에 놓고 찍는다면 H.D=10*10/0.11=909mm  0.9m에 초점을 맞추면 0.45m 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겁니다. 대단하죠?  f8로 찍어도 0.6m 부터 무한대까지.......
일반적으로 흔들린 듯한 벙벙한 사진이 되는 경우는 초점을 잡는 측거점을 그냥 가운데에 둔 상태로 노출만 맞춰서 찍어버려 초점 위치가 너무 멀어서 앞쪽의 물체들이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이 되니까 뒷쪽 보다 상대적으로 앞쪽의 물체들이 크고 선명한데도 초점이 흐려 있어 희멀건 사진이 되는 겁니다.
카메라의 M모드를 선호하는 이유 중의 하나도 바로 초점을 일정 부분에 고정시키고 찍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방식을 이용하여 만든 카메라가 바로 고정초점카메라 입니다. 컴팩트디카 같은 것이지요.
필름카메라를 써본 분들은 아시지만 팬포커스 촬영을 위해서 조리개값에 무한대 눈금을 맞추고 찍는 것이 이러한 원리를 간단히 이용한 것입니다.

다음에 풍경을 찍을 때 활용해 보시고 좋은 사진 찍어서 이 강좌대로 해본 결과를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즐촬, 즐연휴(내일부터 10일까지 쉬는 곳도 있겠죠? 부럽!)하시고 감기도 조심하세요.

'사진공부 따라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포토샵 공부-1  (0) 2010.05.05
필터의 종류와 쓰임새  (0) 2010.02.28
조리게의 개념과 이해  (0) 2010.02.28
일출 일몰 셋팅하기  (0) 2010.02.28
멋진 풍경사진의 조건  (0) 2010.02.28